문체부 ‘공공미술 프로젝트’ 향한 우려의 목소리
상태바
문체부 ‘공공미술 프로젝트’ 향한 우려의 목소리
  • 황채원 기자
  • 승인 2020.09.24 16:42
  • 댓글 0
  • 트위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거 실패 사례, 사업 기간 짧아 ‘졸속’ 될 것” 비판
‘작품 구입이 더 낫다’ 비판에 문체부 “청년작가, 지역예술인 기회 안 가”
“편의주의적 발상보다 '예술을 지속할 지원' 필요” 주장도
지난 2017년 서울로7017에 설치된 ‘슈즈 트리’. 사진=서울시
지난 2017년 서울로7017에 설치된 ‘슈즈 트리’. 사진=서울시

[시사주간=황채원 기자] 문화체육관광부가 추진하고 있는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놓고 곳곳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들은 사업기간이 짧다는 점과 일부 협회와 단체의 독점, 작품의 질 저하 등을 걱정하며 미술품 구입 지원 등 미술 생태계를 지원하는 것이 먼저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지난 6월 문체부는 2020년 제3차 추경예산 3399억원을 편성했고 이 중 문화예술, 관광 등 분야별 일자리 확충에 1699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이 중 미술가, 예술가 8436명이 전국 주민공동시설, 복지관, 광장에 벽화, 조각 등 작품을 설치해 지역주민들이 문화를 향유하도록 돕는 '공공미술 프로젝트' 사업에 759억원이 배정됐다.

문체부는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국민들의 접근이 쉬운 공공장소나 지역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장소 등에 다양한 미술작품을 설치하거나 해당 공간을 개선하는 사업으로, 이를 통해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예술가들을 지원하고 지역주민의 미술문화 향유 증진과 함께 품격 있는 공간문화를 만드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각 지자체에서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진행되기 시작했고 지난 9월 서울시가 '코로나19 서울 공공미술 프로젝트' 추진 계획을 밝혔다. 서울시는 "전국적으로 추진되는 '문체부 공공미술 프로젝트'와 연계해 서울의 총 25~50곳에 예술작품 설치, 문화 공간 조성, 스트리트 아트, 미디어 전시, 소규모 공동체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구현하는 '코로나 19 서울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면서 "국비와 시비 총 130억원을 투입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미술계 작가의 창작 활동을 지원해 침체된 미술계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시민에게 열린 공간의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놓고 부정적인 여론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먼저 나온 비판은 과거의 실패 사례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공공미술을 한다고 해놓고 지역 주민과 맞지 않는 작품이 전시되고 조형물이 흉물로 전락하는 등 효과를 내지 못했는데 이것을 현 정부가 고스란히 이어갔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2017년 서울로7017에 헌 신발 3만개로 만든 조형물 <슈즈 트리(Shoes Tree)>가 설치되자 '혐오스럽다'는 일부의 반응이 나오면서 논란이 된 바 있다. 당시 작가는 "버려질 뻔한 고가를 재탄생시키는 도시재생의 가치관을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논란은 더 거세졌고 결국 작품이 철거됐다.

홍경한 미술평론가는 지난 10일 경향신문에 기고한 칼럼에서 "'우리 동네 미술'은 전체 사업 기간이 5~6개월에 불과하고 실제 실행 기간은 3개월 남짓이다. 공모 기간도 더 짧다. 한두 주 동안에 사회 구성원의 보편적 정서를 반영한 작품과 장소성을 고려한 계획을 수립할 수 없으며 결국 비교적 빠르고 손쉬운 조형물을 세우거나 벽화를 그리는 등 벌써부터 기존 공공미술의 폐단인 조악하고 흉물스러운 작품이 양산될 조점이 보이고 있다"면서 "역대 최고의 졸속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될 공산이 크다. '차라기 작품을 구입하라고 했으면 나았을 것'이라는 한 지자체 인사의 푸념이 괜히 나오는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에 문체부는 10일 "문체부는 3차 추경예산 편성 단계인 5월부터 사업을 준비했고 7월 추경 확정 이후에는 지자체 사업안내서 배포, 지역미술인 대상 권역별 공공미술 교육 등을 진행하며 사업을 내실있게 추진하고 있다. 흉물스런 작품이 양산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공공미술 프로젝트 자문위원회와 지역별 자문위원회를 운영해 작품의 예술성과 실행 가능성 등을 보완해나갈 수 있도록 이미 조치했다"고 해명했다.

문체부는 또 '작품 구입 지원'에 대해서는 "열악한 창작환경에 놓여있는 청년작가나 지역예술인들에게 기회가 돌아가기 어려운 점이 있고, 예술인 복지센터 등을 통한 간접지원의 방식은 1, 2차 추경에 예술인 특별융자, 창작준비금 지원 등 사업으로 924억원이 편성되어 집행하고 있다"면서 '작품 구입'은 효과적인 대책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지금의 정책들이 '생계 유지' 쪽에만 집중하다보니 편의주의적 발상으로 기울었고 이 때문에 예술인들이 예술을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없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정윤희 문화민주주의실천연대 위원장은 "작가들이 소수의 공적 자원에 의존하거나 미술과 관련한 다른 일을 해서 생계비를 얻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 '예술을 지속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미술은 결과물만으로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준비하고 고민하는 과정도 창작 행위다. 단편적인 방법이 아니라 생계비 대출, 긴급지원 같은 '유동성 지원'으로 생계와 작품활동을 유지하도록 해야한다"고 밝혔다. SW

hcw@economicpost.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