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주요 상권도 성장세 높아, 상권평가지수도 전월 대비 19.8% 상승
[시사주간=오영주 기자] 날씨가 점차 따뜻해지면서 제주 여행도 성수기를 맞고 있다. 제주도와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국제공항 이용객은 198만2306명으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동월 216만4963명 의 91.5% 수준을 회복했다.
탑승률도 성수기 수준인 81.2%를 기록하며 주요 시간대 항공편은 '좌석난'을 겪기도 했다. 이달 들어,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4월 같은 기간 하루 평균 운항 편수보다 오히려 14대 늘어났다.실제 제주 입도객은 연일 3만5천 명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 16일에는 입도객 수가 4만 명을 넘어서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

이와 관련, 제주 상권도 회복세를 띄면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28일 상가정보연구소의 상권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칠성로 쇼핑거리가 위치한 제주시 일도1동의 상권평가지수는 5 0 .6점에서 6 0 .6점으로 전월 대비 19.8% 상승했다.
상권평가지수는 상권 내 음식, 소매, 서비스업의 전반적인 업종 경기와 상권의 인구 수, 교통시설, 집객 시설 등을 종합하여 산출한 등급으로써, 점수가 1등급에 가까울수록 상권이 활성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제주시 일도2동은 총 5등급중 2등급으로 성장성이 높으나, 영업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성장성은 높지만 안전성 낮아, 매출변동률 및 영업력 아쉬워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장성의 경우 20점 만점 중 16.6점의 양호한 성적을 보였다. 매출증감률이 10점 만점 중 6.6점(작년 동월대비 전체매출규모 증감률과 작년동월대비 가게당 매출규모 증감률), 상권매출비용이 5점 만점중 5점(작년 동월대비 전국대비 선택지역 매출비중증감률) 예상성장률 5점 만점 중 5점(반기별 매출증감추이를 이용한 향후 1년간의 매출을 예측한 지표)을 기록했다.
반면 안전성의 경우 20점 만점중 11.8점을 기록했다.특히 변동성이 10점 만점 중 2.2점 (최근월 포함 12개월 월별 점포수 변동률 평균, 최근월 포함 12개월 월별 매출 변동률 평균) 을 기록했다. 영업력 또한 20점 만점 중 3.8점의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직전월 대비 성장성 지수는 7 2 .9 % 상승,안정성 지수는 1 9 .2 % 상승,영업력 지수는 2 6 .7 % 상승,구매력 지수는 1 .9 % 상승,집객력 지수는 0 .0 %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았을때 음식점 및 주점업 업종은 -1 4 .8 % 감소했으며, 숙박·음식 업종은 -1 6 .6 % 감소했다. 다만, 한식/ 백반/ 한정식 분야는 2020년 9월부터 음식점 및 주점업보다 낮은 매출 추이를 보여왔으나, 올해 2월들어 음식점 및 주점업과 거의 근접한 1600만원대의 매출 추이를 기록했다.
분석영역의 매출액 및 건수는 1 ,6 0 4만원과 6 0 6건으로 전월 대비 5 6 .2 % 증가, 6 4 .2% 증가했으며 유사상권의 매출액 및 건수는 1 ,7 8 3만원과 4 2 6건으로 전월 대비 4 6 .4 % 증가, 4 3 .9% 증가했다.
제주시(음식점 및 주점업)의 매출액 및 건수는 1 ,4 2 4만원과 5 6 8건으로 전월 대비 5 8 .1 % 증가, 4 8 .7 % 증가했으며, 제주특별자치도(음식점 및 주점업)의 매출액 및 건수는 1 ,4 9 6만원과 6 0 2건으로 전월 대비 7 7 .0 % 증가, 7 2 .3 % 증가했다. 전국(음식점 및 주점업)의 매출액 및 건수는 1 ,3 1 7만원과 6 4 1건으로 전월 대비 3 1 .6% 증가, 4 2 .8 % 증가하였습니다
매출은 주말이 275만원(56.6%)으로 높게 나타나며, 요일별로는 일요일에 292만원 (18.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화요일에 196만원 (12.2%)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시간대별로는 11-14시 시간대에 541만원(33.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00-06시 시간대에 16만원 ( 1%)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매출은 주로 남성이 901 만원,( 57.2%)비율로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별로는 40대가 469 만원, ( 29.8%)비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동인구는 일일평균 72,854 명이며, 남성의 비율이 53.9%,60대가 22.9%로 가장높았다. 시간대별로는 17-21 시간대에 23.7%로 가장 많았으며 21-24 시간대에 8.4%로 가장 적은 유동인구가 나타났다.
요일별은 토요일이 15.2%로 유동인구가 가장 많았으며, 목요일에 13.8 %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유동인구는 통신사 휴대전화 통화량을 바탕으로 전국 50M셀로 추정한, 해당월 평균 추정데이터다.
·주거인구는 총 5 ,0 7 3명이며, 남성의 비율이 5 1 .7 % , 6 0대가 3 2 .4 % 로 가장 높았다. ·직장인구는 총 5 ,3 6 0명이며, 여성의 비율이 5 9 .8 % 로 상대적으로 더 높고 4 0대가 2 4 .1 %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SW
oyj@economic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