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흡연비율...북한 15%-남한 20%
북한은 외국산 담배-전자담배 금지

[시사주간=양승진 북한 전문기자] 남-북한 성인 흡연율은 어디가 더 높을까.
남한보다 북한이 월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사실은 남한이 북한보다 오히려 성인 흡연비율이 높다.
유엔 세계보건기구(WHO)는 27일 발표한 ‘전 세계 담배 유행 2021(Global Tobacco Epidemic 2021)’ 보고서에서 북한에서 매일 담배를 피우는 성인 비율이 2019년 기준 15%로 집계됐다고 VOA가 보도했다.
한국의 경우 같은 기간 흡연율이 20%로 나타나 북한보다 더 높았다.
아시아 많은 국가들의 성인 흡연율이 20%대 이상인 것에 비하면 북한의 흡연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북한은 담배 광고나 홍보·지원 금지 규정, 그리고 흡연 금지 규정 준수 평가에서 10점 만점에 8점을 받았다.
또 6~7개 종류의 공공장소에서 흡연이 전면 금지돼 있는 등 흡연 금지 환경이 비교적 잘 갖춰져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성인과 아동 흡연율에 대한 정확한 최신 자료 공개에 관한 평가에서 북한은 1~4단계 중 2단계로 다소 낮은 평가를 받았다.

북한 성인 흡연율은 2년 사이 2%p 증가했다.
앞서 2019년 WHO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에서 매일 흡연하는 성인 비율은 2017년 기준 13%로 나타났다.
WHO는 2009년부터 올해까지 총 6차례에 걸쳐 이 같은 보고서를 발표했다.
북한에서는 성인 남성 흡연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WHO 자료에 따르면 북한 성인 남성 흡연율은 2000년 42.4%에서 2005년 40.8%, 2010년 39.6%, 2015년 38.7%로 꾸준히 감소했다.
WHO는 북한의 성인 남성 흡연율이 올해 38%, 2025년에는 37.4%를 기록하며 계속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북한 당국은 최근 흡연 통제를 강화하는 등 금연 운동에 적극 나서고 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북한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전원회의를 열고 담배 생산과 판매, 흡연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금연법과 기업소법을 채택한 바 있다.
금연법에는 공공장소와 어린이 보육기관, 교육기관, 의료·보건 시설 등지에 흡연 금지 장소를 지정하고 위반 시 처벌하는 내용이 담겼다.
북한에서는 외국산 담배 수입과 전자담배가 금지된 상황이다. SW
ysj@economic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