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임단협상⋯한노총·민노총의 불편한 한지붕 아래 동거
상태바
포스코, 임단협상⋯한노총·민노총의 불편한 한지붕 아래 동거
  • 이한솔 기자
  • 승인 2021.09.06 18:07
  • 댓글 0
  • 트위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섭대표 ‘한노총’⋯조합원 없는 민노총 “의견묵살, 민노총 막기 위한 대항 노조”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시사주간=이한솔 기자] 포스코 노사가 2021년 임금단체협약에 잠정 협약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현장에서는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 노조는 임단협을 잠정 합의하고 이날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찬반투표를 진행한다. 이번 잠정합의안은 △기본급 2.5% 인상 △상여금 100% △지역상품권 50만원(추석 전 타결) △금년별도 지역상품권 지급 10만원 △복지 포인트 10만원 인상 등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합의안은 포스코와 한국노총 포스코노조가 이뤄냈다. 포스코에는 2개의 노조가 복수노조형태로 운영된다. 복수노조는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이하 민노총 노조)와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조(이하 한노총 노조) 등으로 구성돼 있다.

때문에 조합원 수가 많은 한노총 노조가 교섭 대표로 포스코와 이번 협의안을 합의한 것인데, 민노총 노조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 한노총·민노총 복수노조 시스템, 하지만 현실은 ‘기울어진 운동장’

그동안 포스코는 삼성과 함께 무노조 사업장으로 익히 알려져 왔다. 지난 1988년 포항제철노동조합이 설립된 바 있으나 사측 압박으로 조합원 대부분이 탈퇴하는 등 실질적인 구실을 하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제대로 된 노동조합이 없는 만큼 노동자들은 노동 탄압을 겪어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위험한 제철 현장 특성 상 강한 수직적 조직문화로 노동자들의 인권이 보장받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이후 2018년 민노총 포스코지회가 창설되고 휴면노조였던 한노총 노조가 재가입해 정식 출범됐다.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군부정권 안에서 포스코와 공안기관의 회유와 협박, 대대적인 노조 탈퇴공작으로 인한 유령노조에 이르기까지 30년간의 노조탄압 역사를 함께 지켜봐왔다”며 “포스코 노조 결성은 재벌과 정권으로부터 짓눌렸던 헌법 33조의 부활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복수노조라고 하지만 교섭대표 주권같은 권한은 한노총 노조쪽으로 치우쳐있다는 것이 민노총 노조의 설명이다. 일단 한노총 조합원 수는 6500여명, 민노총 노조는 1000명정도가 가입돼 있다. 한노총 노조의 조합원 수가 많은 만큼 포스코와의 교섭은 한노총이 맡게된다.

더구나 포스코에서 만든 노동조합인 만큼 민노총을 막기 위한 ‘대항노조’라는 것이 민노총 설명이다. 민노총 노조 관계자는 “한노총 조합원들은 대부분 현장직이 아니라 대졸사원들이나 관리직 주임들이 가입돼 있다”며 “(민노총은) 잠정합의안에 대해 어떠한 설명도 들은 것이 없다. 내용도 잘 모른다”고 말했다.

이번 협의안에 대한 찬반투표에 민노총 조합원들도 참여하지만 압도적인 조합원 수 때문에 사실상 통과랑 다름없다는 것이 노동자들의 설명이다.

민노총 관계자는 “조합원들의 임금을 깎거나 복지를 줄이는 등 처우가 낮아지는 것들에 대해서는 전 직원들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포스코 관계자는 “임금 같은 부분은 직원들의 동의를 얻어서 협상에 들어갔던 적은 없던 것 같다”며 “노조는 의견 수렴을 해서 안건을 제시하고 사측과 타협점을 찾아 협의를 끝내는 것이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직원들 시스템을 호봉제에서 연봉제로 개편하는 교섭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근속 연수를 그대로 인정받는 것이 아니라 승진을 해야만 임금이 오르는 시스템이라는 것이 민노총 노조 측 설명이다. 공정하지 못한 인사평가에 따라 좌우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도 나온다.

◇ 잘 사먹던 도시락업체 중간에 끼어들어 수수료 챙겨⋯대금 치루지 못하고 ‘잠적’

민노총 노조는 사실상 임금에 대한 불만보다 노동자들의 가장 큰 가치 ‘권익보호’가 우선시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노총 노조 관계자는 “대기업 노동자들은 기본적으로 처우가 심하게 나쁜 편은 아니라서 임금에 대한 불만이 크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며 “무엇보다 강한 수직적 조직문화가 많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군에 있던 관계자들이 설립한 포스코인 만큼, 위험한 제철을 다루는 현장인 만큼 강력한 조직문화가 남아있다는 설명이다. 직장 내 갑질이나 언어폭력이 심각하다고. 민노총 노조 관계자는 “인수합병 부정부패가 많고 비리 문제가 많다”고 말했다.

민노총 노조는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에 부당거래가 의심된다며 포스코 관계자들을 조사해달라고 요청했다. 포스코와 도시락 업체 사이에 중간회사인 ‘패스 컴바인(포도락)’의 유착관계가 의심된다는 것.

민노총 노조에 따르면 포항과 광양 도시락 업체 16개와 포스코 현장직원과의 주문 방식을 개선한다며 앱을 통해 도시락주문을 할 수 있도록 포스코가 지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문마다 패스컴바인이 수수료를 받아가는 방식이라고. 그러나 현재 패스컴바인 회사는 잠적했으며 업체별로 약 40~50일치의 식대료가 지불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특히 해당 업체는 포스코에서 공개로 입찰한 업체가 아닌 특정업체 수의계약 방식이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자금 유통 창구가 아니냐는 의심의 말도 나온다. 특히 잠적한 패스컴바인 탓에 포스코가 도시락 업체들에게 대금을 지불한 것으로 알려져 더욱 조사가 필요하다는 것이 민노총 노조 측 입장이다.

민노총 노조 관계자는 “직원들이 도시락을 주문해서 먹는데 중간에 업체가 낄 이유도, 회사가 낄 이유도 없는데 왜 수수료를 발생시키는지 알 수 없다”며 “회사가 대신 갚아주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나중에 구상권 청구를 어떻게 할지 의문이다. 회계 상 횡령이나 배임 쪽으로 의심되는 대목이다”고 말했다.

이 모든 과정에서 임원들의 외압이 있었을 것으로 민노총 노조는 판단하고 있다. 현장 노동자와 도시락업체들은 처음부터 관여할 수 없었고 회사의 일방적인 통보였다는 설명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대금 지불에 대해 최근에 된 걸로는 알고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SW

lhs@economicpost.co.k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