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층 소득 22%↑ '역대 최대'···재난지원금 역할 커
상태바
빈곤층 소득 22%↑ '역대 최대'···재난지원금 역할 커
  • 이민정 기자
  • 승인 2021.11.18 15:06
  • 댓글 0
  • 트위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계청 '2021 3분기 가계동향조사' 발표
1분위 소득 21.5%↑…15년만에 최대 증가
근로소득·사업소득·이전소득 모두 늘어
"재난지원금, 추석 명절 효과 등 반영 돼"
5분위 배율, 5분기 만에 가장 크게 개선
서울 서초구 양재동의 한 식당이 손님들로 붐비고 있다. 사진=김도훈 기자
서울 서초구 양재동의 한 식당이 손님들로 붐비고 있다. 사진=김도훈 기자

[시사주간=이민정 기자] 추석 명절 효과, 예상보다 빠른 경기 회복, 백신 접종 확대 등에 정부의 재난지원금 지급까지 더해지면서 지난 3분기 저소득층 소득이 2006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고소득층 소득 역시 증가세를 보였으나, 정부의 지원이 저소득층에 더 많이 쏠리면서 1분위(소득 하위 20%)와 5분위(소득 상위 20%) 간 소득 양극화도 5분기 만에 가장 크게 개선된 모습이다.

통계청은 18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1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은 지난해 1인 가구 비중이 30%를 초과하는 등 사회적 변화를 고려해 올해부터 농림어가를 포함한 전국 1인 이상 일반 가구로 조사 범위를 넓혔다.

◇저소득층 소득 21.5%↑…재난금·명절 효과에 15년 만에 최대 증가

3분기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4만2000원으로 지난해 동기(94만원) 대비 21.5% 증가했다. 2006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1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1분위 가구 근로소득은 23만9000원으로 전년보다 22.6% 늘며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이 증가했다. 사업소득도 20.7% 증가한 12만4000원으로 집계됐다. 여기에 정부의 재난지원금 지급으로 이전소득(76만3000원)은 22.2% 증가하면서 1분위 소득을 끌어올렸다. 공적 이전 소득은 55만9000원, 사적 이전 소득은 20만4000원으로 각각 전년보다 21.8%, 23.2% 늘었다.

재산소득은 6000원으로 1년 전보다 50.7%나 쪼그라들었다. 다만 통계청은 금액이 적고 격차가 커서 해석에 유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1분위 가구주 평균 연령은 60.9세로 고령층 비중이 높은데 공공 일자리 사업으로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늘면서 근로소득이 증가한 데다가 추석 명절 효과에 따라 사적 이전 소득 증가, 국민 지원금으로 공적 이전소득이 증가한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설명했다.

3분기에는 1분위뿐 아니라 전 소득 계층의 가계 살림이 눈에 띄게 개선됐다. 2분위(소득 하위 40%) 월평균 소득은 264만7000원으로 전년보다 12.0% 늘며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3분위(소득 상위 60%) 소득(401만8000원)은 2010년 3분기 이래 최대 증가 폭인 8.6%를, 4분위(소득 상위 40%) 소득(579만2000원)은 7.6% 늘며 역대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소득 최상위층인 5분위 소득(1003만7000원)마저 5.7% 늘면서 2018년 3분기 이래 3년 만에 최고 소득을 달성했다. 근로소득은 704만8000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보다 7.5% 증가했으나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감소 등의 영향으로 사업소득이 190만8000원으로 2.5% 감소했다. 공적 이전소득(54만3000원)은 41.0% 증가하면서 이전소득(81만3000원)도 22.0% 늘었다.

정 국장은 "5차 재난지원금 지급에 따라 공적 이전소득이 증가에 힘입어 모든 분위에서 소득이 증가했다"며 "상대적으로 소득 규모가 작은 하위 분위 소득 증가에 더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공적 이전소득 증가율이 5분위가 1분위보다 높은 이유에 대해서는 "재난지원금은 가구원 수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1분위 처분가능소득 17.7% 늘었지만…월평균 26만8000원 적자

3분위 가계지출은 1분위가 141만원으로 전년보다 10.9% 증가하며 전 소득계층 중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5분위 가구는 7.0% 증가한 665만1000원이었다.

이 중 소비지출은 1분위 가구가 117만8000원으로 전년보다 6.6% 증가했다. 5분위는 4.3% 늘어난 436만1000원으로 나타났다. 비소비지출은 1분위(23만2000원)에서 39.1% 증가하면서 5분위(228만9000원) 증가 폭(12.5%)보다 컸다. 비소비지출은 조세, 연금기여금, 사회보험, 이자보험 등 의무성이 부여된 지출이나 가구 또는 비영리 단체 등으로 대가 없이 이전하는 지출을 의미한다.

1분위 가구의 소비지출 비중은 식료품·비주류 음료(23.7%), 주거·수도·광열(16.3%), 보건(13.1%) 순이었다. 5분위 가구도  식료품·비주류 음료(14.2%) 지출이 가장 많았으며 음식·숙박(13.7%), 교통(13.2%)이 뒤를 이었다.

1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은 91만원으로 1년 전보다 17.7%나 늘었다. 5분위는 774만8000원으로 3.8%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은 세금, 공적 연금 등 의무적으로 납부해야 하는 돈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소비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1분위 가구는 월평균 26만8000원 적자였지만, 5분위 가구는 338만7000원의 흑자를 냈다. 흑자액은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금액으로 저축이나 자산 구입, 부채 상환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의미한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인 평균소비성향은 1분위 가구의 경우 전년보다 13.4%포인트(p) 하락한 129.4%였다. 5분위 가구는 0.2%p 올라간 56.3%로 조사됐다.


◇재난지원금 덕분에…분배지표 5분기 만에 최대 개선

지난 3분기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간의 소득 분배 격차는 5분기 만에 가장 크게 개선됐다.

국민 소득 분배 상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34배로 1년 전(5.92배)보다 0.58배p 개선됐다. 5분위 배율은 지난해 2분기(5.03배) 이후 가장 크게 완화됐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분위의 소득이 1분위보다 몇 배 많은지를 뜻한다. 3분기를 보면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이 1분위보다 5.34배 많다는 의미다. 이 지표는 수치가 클수록 소득 불평등의 정도는 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시장 소득을 기준으로 한 5분위 배율은 11.93배로 1년 전(13.08배)보다 1.15배p 개선됐다.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사적 이전소득을 합해 사적 이전지출을 뺀 값인 시장소득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5분위 배율에서 정부의 소득 재분배 정책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11.93배에서 처분가능소득 5.34배를 뺀 6.59배p가 정부 정책 효과다.

정 국장은 "3분기 고용 호조와 서비스업 업황 개선, 국민지원금 지급, 추석 명절 효과로 소독과 소비 지출이 모두 증가했다"며 "1분위가 재난지원금 지급 영향을 더 많이 받으면서 분배 지표도 완화됐다"고 말했다. SW

lmj@economicpost.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