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향후 15년간 남북대화 큰 진전 없을 것"
상태바
전문가 "향후 15년간 남북대화 큰 진전 없을 것"
  • 황영화 기자
  • 승인 2022.12.13 13:28
  • 댓글 0
  • 트위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 동북아평화미래포럼 세미나…김정은 15년 장기 구상 주목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30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11차 정치국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평양=AP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30일 평양에서 열린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11차 정치국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평양=AP

[시사주간=황영화 기자] 향후 15년 동안 남북대화에서 뚜렷한 진전이 없을 가능성이 있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13일 국회 동북아평화미래포럼에 따르면 김동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전날 열린 '북핵 능력 강화 의미 및 한반도 정세 전망' 긴급 세미나에서 "2035년까지 남북관계의 (큰) 진전이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가 주목한 것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15년 장기 구상이다. 김정은은 지난해 4월 평양에서 열린 청년동맹 대회에 보낸 서한을 통해 "앞으로 15년 안팎에 융성·번영하는 사회주의 강국을 만들고자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김정은이 15년 장기 구상에 대북제재 해제와 남북관계 개선을 통한 지원과 협력, 북미관계 개선 등 희망적인 전제조건을 담지 않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이른바 신냉전이라고 불리는 미·중 경쟁구도의 심화가 북한의 입장을 굳히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그는 "둘 중 한쪽 진영과 밀착하면 자신의 정권과 체제를 유지할 수 있게 됐고 미국을 중심으로 했던 UN 체제의 힘이 약화했다"며 "북한은 명백히 진영화된 신냉전 구도 속에서 두 가지 선물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 교수는 "남북 간 서로 자제할 수 있는 분위기는 만들어질 수 있다"며 "경직된 상호주의에서 벗어나 우리부터 평화의 노력을 계속해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상범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역시 "(제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한의 대남인식 및 정책의 변화, 국가제일주의 담론의 강조 등을 볼 때 상당 기간 남북관계의 교착상태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상범 교수는 북한이 군사적 수단을 강화하는 것이 미래의 동아시아 안보 정세에서 자신들의 입지를 강화할 전략이라고 판단해 당분간 대외관계보다 내치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했다.

북한은 국방력을 강화한다는 전제 아래 국가를 재정비해서 북미 간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고 남한과의 관계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중장기적으로 북한은 미국의 국제적 리더십이 약화하고 중국의 상승세가 이어질 경우 자신들의 핵개발이 국제적으로 용인되는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는 희망을 품고 있을 것이라며 "남북관계를 바라보는 우리 측의 시간 지평도 달라질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단기적으로는 북미대화, 남북대화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지 않지만 한국의 총선, 미국의 대선이 열리는 2024년 변화가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미국을 설득해 과거 미국 클린턴 정부 시절 진행된 페리프로세스와 같은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페리프로세스는 클린턴 정부 윌리엄 페리 대북조정관의 대북제재 해제, 북한 핵·미사일 개발 중단,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등 포괄적 북핵 해결 방안을 담은 보고서로 1999년 10월 발표됐다가 2000년 조지 부시 행정부가 출범하며 폐기됐다.

양 총장은 또 "향후 북한이 핵무기 고도화를 통해 사실상 핵보유국 지위를 획득한 이후 군축협상으로 협상의 성격을 변경하려고 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핵군축 협상은 상대방이 얼마나 많은 핵탄두를 갖고 있는지 모르는 상황에서 협상을 진행하기에 실효성에 의문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주한미군의 감축, 한미 연합훈련 중단 등을 내세우는 북한의 핵군축 협상은 우리에게는 최악의 선택지가 될 것"이라며 "이에 대한 거부를 분명히 하고 비핵화와 평화체제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협상 동력을 계속해서 살려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SW

hyh@economicpost.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