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층 소득 찔끔 늘고 '역대 최대' 46만원 적자···분배 다시 악화
상태바
빈곤층 소득 찔끔 늘고 '역대 최대' 46만원 적자···분배 다시 악화
  • 유진경 기자
  • 승인 2023.05.25 13:16
  • 댓글 0
  • 트위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계청 '2023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1분위 소득 3.2% 증가…물가 반영시 1.5%↓
저소득층 지출 13.7% 증가…지출도 양극화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시사주간=유진경 기자] 올해 1분기 빈곤층보다 고소득층 소득이 더 큰 폭으로 늘면서 지난 분기 개선된 분배지표가 다시 악화됐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소득으로 보더라도 저소득층은 감소했지만 고소득층은 늘었다.

소득이 찔끔 늘어났지만, 지출이 많이 증가하면서 저소득층의 적자액은 통계 작성 이래 최대를 기록했다.

◇ 1분위 소득 3.2% 증가했지만…물가 고려하면 1.5% 감소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23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소득 1분위(소득 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7만6000원으로 1년 전보다 3.2% 증가했다. 근로소득(22만6000원)은 임시·일용직 취업자 감소로 1.5% 줄었지만, 사업소득(10만5000원)이 30.7%나 늘었다. 재산소득(1만7000원)과 이전소득(71만8000원)도 각각 19.8%, 0.9% 증가했다.

같은 기간 5분위(소득 상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48만3000원으로 6.0% 늘었다. 저소득층 소득 증가율보다 2배 가까이 높은 셈이다. 이전소득(86만1000원)과 사업소득(170만5000원)은 각각 7.0%, 13.6% 감소했지만 고용시장 호조에 따른 상용직 증가와 임금 상승 등의 영향으로 근로소득(840만6000원)은 11.7% 증가했다.

2분위(257만9000원), 3분위(405만1000원), 4분위(605만2000원) 가구의 소득도 각각 2.2%, 2.5%, 5.3% 늘었다. 2분위 근로소득(136만2000원)은 3.8% 줄었지만 사업소득(47만6000원)은 20.6% 증가했다.

3분위와 4분위 근로소득은 각각 3.7%, 10.8% 증가한 251만원, 412만원이었다. 반면 3분위(71만3000원)와 4분위(101만9000원) 사업소득은 전년 같은 분기보다 5.6% 8.0% 쪼그라들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작년 1분기 때는 코로나19로 손실보상금, 방역지원금 등이 풀리면서 자영업자를 지원했는데 올해는 정부 지원 영향이 줄면서 자영업자들이 소득 하위 계층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며 "상위 분위에서는 근로자 가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소득을 보면 소득 양극화가 더 두드러졌다. 1분기 실질소득은 전년보다 1.5% 감소했지만, 5분위 실질소득은 1.2% 증가했다. 전체 소득계층 중 초고소득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2분위와 3분위 실질소득은 각각 2.4%, 2.1% 줄었지만 4분위는 0.5% 늘었다.

◇ 1분위 가구 지출 13.7% 증가…적자액 역대 최대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31만9000원으로 전년보다 13.7% 증가했다. 같은 기간 5분위는 512만5000원으로 17.7% 늘었다.

1분위의 경우 오락·문화 관련 지출을 43.3%, 교육 35.1%, 음식·숙박 31.8%, 의류·신발 22.6% 등의 지출이 증가했다. 5분위는 교통 지출을 76.4%, 오락·문화 32.8%를 늘렸으나 식료퓸·비주류음료 지출을 17.7% 줄였다.

소비지출 비중의 경우 1분위 가구는 주거·수도·광렬(23.1%), 식료품·비주류음료(19.0%), 보건(13.9%) 순이었다. 5분위 가구는 교통(16.5%)이 가장 높았으며 음식·숙박(13.4%), 교육(11.4%)이 뒤따랐다. 1분위의 경우 필수 지출이 많은 반면 5분위는 선택적 성격의 지출이 늘어나는 등 지출에서도 양극화가 확인됐다.

실질 지출을 보면 1분위는 8.6%, 5분위는 12.4% 늘었다. 2분위는 3.8% 감소한 반면 3분위와 4분위는 각각 0.3%, 7.9% 증가했다.

1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은 85만8000원으로 전년보다 1.3% 증가했다. 하지만 소비지출이 크게 늘면서 월평균 46만1000원의 적자(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 살림을 꾸렸다. 1분위 적자액은 2006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886만9000원으로 4.7% 늘었으며 평균 374만4000원의 흑자를 냈다. 처분가능소득은 세금, 공적 연금 등 의무적으로 납부해야 하는 돈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소비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명목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값으로 계산된다.

◇ 저·고소득층 소득격차 6.20→6.45배…분배 악화

지난 분기 때 개선됐던 소득 양극화 지표는 다시 악화됐다. 국민 소득 분배 상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6.45배로 1년 전 6.20배보다 0.25배포인트(p) 상승했다.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이 1분위보다 6.45배 많다는 의미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분위의 소득이 1분위보다 몇 배 많은지를 뜻한다. 이 지표는 수치가 클수록 소득 불평등의 정도는 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5분위 배율은 지난해 2분기, 3분기 악화됐다가 4분기 개선됐지만, 올해 1분기 다시 나빠졌다.

시장소득을 기준으로 한 5분위 배율은 15.65배로 1년 전(14.81배)보다 0.84배p 악화됐다.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사적 이전소득을 합한 값인 시장소득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5분위 배율에서 정부의 소득 재분배 정책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15.65배에서 처분가능소득 6.45배를 뺀 9.20배p가 정부 정책 효과(개선 효과)다.

정원 기획재정부 복지경제과장은 "소득 5분위 배율은 사회 안전망 강화, 물가 안정 등 상방 요인과 경기 둔화 등 하방 요인이 모두 있어 방향을 예단하기 어렵다"면서 "취약계층 고용 여건 개선을 위해 일자리 사업을 조기 집행하고 취약계층 복지제도 보장성도 강화하는 등 소득·분배 개선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W

yjk@economicpost.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