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클로·DHC로 본 日 혐한 기업의 온도차
상태바
유니클로·DHC로 본 日 혐한 기업의 온도차
  • 현지용 기자
  • 승인 2019.08.14 17:28
  • 댓글 0
  • 트위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햐쿠타 나오키, 켄트 길버트, 타케다 츠네야스, 아리모코 카오리, 오리시마 잇페이 등 DHC TV가 출연시키는 일본 극우 방송 인사들의 모습. 사진 / DHC TV

[시사주간=현지용 기자] 유니클로가 우익적 발언으로 한국에 사과한 것과 달리, DHC는 이에 아랑곳 않고 극우 선전을 계속하고 있어 일본 기업의 극우적 면모 차이가 선명하게 나뉘고 있다.

지난달 11일 유니클로의 본사인 패스트리테일링이 연 도쿄 실적 발표회 당시 본사 측 일본인 임원이던 오카자키 다케시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한국의 불매운동에 대해 “매출에 영향을 줄 만큼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 발언했다. 범국민적 운동인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찬물을 끼얹는 발언에 한국 시민사회가 강하게 반발하자 유니클로는 약 열흘 뒤인 22일 유니클로 한국지사인 에프엘알코리아와 본사 이름을 함께 담아 사과문을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유니클로의 사과문에도 한국 소비자의 반응은 싸늘했다. 국내 유니클로 일부 지점까지 폐쇄하게 된 것에 대해 유니클로 측은 “불매운동과는 무관한 계약 만로에 따른 것이나, 불매운동에 따른 실적 및 매출 영향은 어느 정도 미치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니클로는 국내에 187곳의 매장을 둘 정도로 한국 시장 의존도가 상당하다. 그만큼 이 같은 답변과 본사의 직접 사과는 한국 소비자들의 불매운동이 자사 매출을 좌지우지한다고 충분히 해석할 수 있다.

반면 한국 시장에 진출한 다른 일본기업인 DHC는 유니클로와는 정반대의 행보를 보이고 있다. 화장품 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DHC는 유니클로와 달리 뿌리부터 극우 혐한 기업이라 볼 수 있다. 여기에 자회사인 DHC TV는 1995년 설립된 이래 혐한(嫌韓) 콘텐츠 생산 및 강제징용·위안부 등 일본의 전쟁범죄를 전면 부정하고 역사 왜곡 방송을 지속하는 등 혐한 기업의 나팔수 노릇을 이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야마다 아키라 DHC TV 대표이사는 DHC TV의 혐한·역사왜곡 방송에 대해 공식 홈페이지에 입장문을 올리며 “혐한 및 역사왜곡 비난과 달리 자사는 사실에 근거한 정당한 비판을 하고 있다. 상식을 넘은 불매운동 전개는 ‘언론 봉쇄’”라 밝혔다. 사진 / DHC TV

이는 DHC 설립자이자 회장이던 요시다 요시아키의 기조가 그대로 반영된 결과라 볼 수 있다. 요시아키 전 회장은 이미 2016년 DHC 공식홈페이지에 “문제는 일본으로 귀화하는데 일본을 욕하는 불순무리의 재일집단이다. 연예계와 스포츠계는 재일투성이‘라며 ”사이비 일본인은 필요 없다. 모국으로 돌아가라“고 망언을 올리는 등 기업인임에도 본인의 혐한 입장을 당당히 밝히기도 했다. 

켄트 길버트, 햐쿠타 나오키 등 일본 극우 방송 인사들을 동원해 혐한, 역사왜곡 방송을 계속하는 실태가 한국에 본격적으로 알려지자 DHC 불매운동은 퇴출운동으로까지 번진 상황이다. 이에 한국지사인 DHC코리아는 14일 한국지사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올리며 “DHC코리아는 대표 포함 임직원 모두 한국인이다. DHC코리아는 DHC TV의 발언에 동의하지 않으며 한국 비하 방송 중단을 지속적으로 요청해왔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작 같은 시간 DHC TV의 야마다 아키라 대표이사는 14일 공식 홈페이지에 “평화로운 민주주의 국가 일본에서 자유로운 언론 구현을 위해 기존 미디어가 ‘터부(taboo)’라 해온 일들을 포함해 다각적으로 논하고 있다”며 “혐한 및 역사왜곡 비난과 달리 자사는 사실에 근거한 정당한 비판을 하고 있으며, DHC코리아와 DHC TV는 아무 관계가 없다. 상식을 넘은 불매운동 전개는 ‘언론 봉쇄’”라고 밝혔다. 

일본 경제보복과 맞물려 DHC 자사라는 위치에도 혐한 발언을 공개적으로 쏟아내자 한국 시민사회는 이에 공분한 상황이다. 올리브영, 랄라블라, 롭스 등 국내 화장품 판매회사인 헬스 앤 뷰티(H%B)들도 불매운동에 동참해 DHC 제품 판매 중단 및 발주 중단에 나서고 있다. 여기에 롯데닷컴, SSG닷컴, 쿠팡 등 대형 물류회사들도 가세하고 있는 상황이다.

DHC TV의 입장 표명과 DHC 오너의 소신 밝히기로 혐한 기업 구분은 더욱 선명해질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일본의 경제보복이 ‘전쟁 가능 국가로의 회귀’라는 일본 극우 정권의 의도로 명백히 드러난 만큼, 향후 일본 기업에 대한 불매운동은 퇴출운동을 포함한 범시민운동의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SW

 

hjy@economicpost.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