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이촌 '대박' vs 삼각지 '울상'···새 집무실 이전 쌍곡선
상태바
한남·이촌 '대박' vs 삼각지 '울상'···새 집무실 이전 쌍곡선
  • 박지윤 기자
  • 승인 2022.03.21 14:06
  • 댓글 0
  • 트위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용산 내에서도 긍정·부정 영향 판이하게 갈려
국방부 인근 사업지, 개발제한 더해질까 전전긍긍
조속한 용산공원 조성, 그 외 지역엔 선물
이촌동 등 한강변 개발호재와 맞물리면 '잭팟'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시사주간=박지윤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를 집무실로 쓰겠다고 공식화하면서 지역 주민과 부동산 업계가 득실을 따지느라 바빠졌다.

시장에서는 용산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집무실 이전에 따른 영향이 갈릴 것으로 보고 있다. 대체로 용산의 네임밸류가 높아지고 장기적으로는 호재일 것이란 전망을 내놓는 가운데, 청사 인근 삼각지역 일대는 개발제한 및 교통불편으로 피해를 볼 것이란 우려에 용산 전체를 하나로 묶어 볼 수 없다는 설명이다.

21일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대선 당일인 9일 922건이던 용산구의 매물은 지난 19일 기준 891건으로 3.3% 감소했다. 새 정부에서 각종 부동산 규제가 완화될 것이란 기대감에 더해 서울시가 내놓은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2040 서울플랜)으로 한강변 개발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판단에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인 것으로 해석된다.

2040 서울플랜으로 한강변 아파트의 35층 높이 제한이 폐지되면서 용산이 대표적 수혜지로 떠올랐다.

윤 당선인이 국방부 청사를 집무실로 쓰고, 미군기지 부지의 공원화를 앞당겨 국민과의 소통 공간을 만들겠다고 한 만큼 용산공원의 빠른 조성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의견이 나온다. 용산공원 완공은 빨라야 2027년에나 가능할 전망이지만, 환경오염과 이에 따른 정화작업 등으로 한없이 늘어질 수 있는 사업이 속도감 있게 진행되리란 기대감이다.

문제는 계획된 대규모 주택 공급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점이다. 집무실 부근이라 고도제한 등으로 고층 아파트를 짓기 어려워져 용적률이 기대만큼 안 나올 수 있다는 우려다.

용산 정비창과 캠프킴 부지에 공공 주도의 주택공급이 예정돼 있고 한강로1가 일대의 '한강로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삼각맨션 재개발 지구도 정비사업을 오랫동안 기다려 왔다. 주민들은 숙원사업이 사업성 악화로 미뤄질까봐 집무실 이전을 반대하는 상황이다. 지난 18일 오후 국방부 청사 앞에서는 인근에서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주민들이 대통령 인수위원회 관계자들이 탄 버스를 막아서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처럼 호재와 악재가 모두 존재하지만 결국 국방부와 삼각지역 인근 지역 주민은 부정적 영향이, 한남동과 이촌동 등 그 외 지역은 긍정적 영향이 더 피부에 와 닿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는 "개발이 제한되는 지역은 삼각지역 주변 일부일 텐데, 이 지역은 원래 국방부와 미군기지 등이 있어 지금의 규제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용산 전체에 호재로 평가된다"고 평가했다.

윤 당선인도 전날 기자회견에서 "용산 국방부와 합참 구역은 국가 안보 지휘 시설 등이 구비돼 청와대를 시민들께 완벽하게 돌려드릴 수 있고 경호 조치에 수반되는 시민들의 불편도 거의 없다"며 "용산 지역은 이미 군사시설 보호를 전제로 개발이 진행돼 왔고 청와대가 이전하더라도 추가 규제는 없다"고 강조했다.

용산은 강북에서 강남을 대체할 유일한 지역으로 언급돼 왔지만 장기 침체를 겪으며 이렇다 할 결과를 내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집무실 이전과 한강변 일대 정비사업이 맞물리면 크게 도약할 기회라는 시각도 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국방부 반경 일정 거리 내에서는 고도제한과 교통불편 등으로 제약이 있을 것이고, 이를 벗어나는 범주에서는 용산이라는 가치가 격상되는 의미가 있으니 지역에 따라 달리 봐야 할 것"이라며 "한남뉴타운 사업이 진행되고 있고 이촌동을 중심으로 한강변 개발 이슈가 생긴 상황이라 이런 지역은 대통령이 용산으로 와 공원 조성이 조속화될 수 있다면 수혜가 클 것"이라고 판단했다. SW

pjy@economicpost.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