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불법 사이버 활동 국제공조 강화될듯

[시사주간=양승진 북한 전문기자] 북한이 올해 3월 게임회사를 해킹해 8300억원 가량의 암호화폐를 탈취했다.
해킹 한번으로 상반기 탄도미사일 발사 비용을 충당할 만큼의 수익을 벌어들인 셈이어서 한미를 중심으로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에 대한 국제 공조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17일 ‘북한 암호화폐 탈취 대응 한미 공동 민관 심포지엄’에서 “북한이 올해 3월 ‘액시 인피니티’라는 게임 코인을 해킹해 6억2000만 달러(약 8300억 원) 상당의 암호화폐를 탈취했다”고 밝혔다. ‘액시 인피니티’는 게임을 통해 실제로 돈을 버는 P2E(Play to Earn) 게임이다.
김 본부장은 “북한은 올해 상반기에만 31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해 4억 달러에서 6억5000만 달러(약 8700억 원)를 탕진한 것으로 추산된다”고 덧붙였다.
김 본부장은 북한이 전 세계를 상대로 저지른 사이버 공격으로 추정되는 랜섬웨어 유포, 해킹 사례를 거론하며 “암호화폐 시장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동남아 국가들이 북한 해킹 공격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보다 많은 나라가 북한의 사이버 위협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 국무부와 공동 개최한 이날 심포지엄에 참석한 정 박 미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는 “북한은 다른 국가, 기업, 사람들의 돈을 적극적으로 탈취하는 가장 악명 높은 국가 중 한 곳”이라며 “우리가 방어를 강화할 때 우리 자신을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북한의 불법자금을 무기개발 프로그램에 쓰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암호화폐 거래소가 북한이 악의적 사이버 활동을 할 수 있는 수익을 제공한다”며 “국제 금융 시스템을 우회해 유엔 제재를 회피하고, 무기 프로그램에 자본을 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북한이 3월 훔친 6억2000만 달러어치의 암호화폐는 탄도미사일 재료 조달에 사용할 수 있는 많은 돈”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는 북한이 해킹 등 사이버 활동으로 핵·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막대한 돈을 챙기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앤 뉴버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17일(현지시간)은 워싱턴 DC 프레스센터빌딩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암호화폐 인프라에 대한 수많은 사이버 공격 등과 같은 해킹으로 북한은 막대한 돈을 벌어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은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미사일 프로그램 등에 필요한 자금의 약 30%를 충당한다”고 재차 밝히면서 “북한의 악성 사이버 활동은 상당한 우려 사항”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에 대응해서 우리는 동맹국과 (사이버) 위협에 대한 정보 협력을 강화하고 암호화폐 인프라를 활용한 불법 자금 이동을 어렵게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는 북한이 해킹 등 사이버 활동으로 핵·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막대한 돈을 챙기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앤 뉴버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17일(현지시간)은 워싱턴 DC 프레스센터빌딩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암호화폐 인프라에 대한 수많은 사이버 공격 등과 같은 해킹으로 북한은 막대한 돈을 벌어들이고 있다”고 말햇다.
이어 “북한은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미사일 프로그램 등에 필요한 자금의 약 30%를 충당한다”고 재차 밝히면서 “북한의 악성 사이버 활동은 상당한 우려 사항”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에 대응해서 우리는 동맹국과 (사이버) 위협에 대한 정보 협력을 강화하고 암호화폐 인프라를 활용한 불법 자금 이동을 어렵게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는 북한이 해킹 등 사이버 활동으로 핵·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막대한 돈을 챙기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앤 뉴버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17일(현지시간)은 워싱턴 DC 프레스센터빌딩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암호화폐 인프라에 대한 수많은 사이버 공격 등과 같은 해킹으로 북한은 막대한 돈을 벌어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은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미사일 프로그램 등에 필요한 자금의 약 30%를 충당한다”고 재차 밝히면서 “북한의 악성 사이버 활동은 상당한 우려 사항”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에 대응해서 우리는 동맹국과 (사이버) 위협에 대한 정보 협력을 강화하고 암호화폐 인프라를 활용한 불법 자금 이동을 어렵게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SW
ysj@economic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