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폭형 무인기 배치땐 큰 위협"
상태바
"자폭형 무인기 배치땐 큰 위협"
  • 황영화 기자
  • 승인 2022.12.29 10:38
  • 댓글 0
  • 트위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 무인기 정찰용이더라도 손쉽게 군사용 전환할 수 있어"
"무인기 5대에 김정남 살해 VX 실었으면 韓인구 3배 살상 가능"
"민간 제품으로도 개발할 수 있어…대북 제재도 무용지물"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은 김승겸 합참의장. 사진=뉴시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은 김승겸 합참의장. 사진=뉴시스

[시사주간=황영화 기자] 지난 26일 북한 무인기 5대가 군사분계선을 넘어 약 5시간 넘게 서울을 포함한 한국 영공을 침범한 가운데, 북한이 구형 전투기를 개조한 자폭형 무인기를 배치할 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다.

한반도 전문가인 마키노 요시히로 일본 히로시마대 객원교수 겸 아사히신문 외교전문기자는 28일(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 인터뷰에서 "현재까지 (북한 무인기가) 공격용으로 쓰인 경우는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정찰용 무인기는 쉽게 공격용 무인기로 전환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크라이나 군은 올해 2월 러시아 침공 후 구소련의 'TU-141 스트리스'이나 'TU-143 스트리스'같은 소형 무인기로 국경지대 근처에 있는 러시아군 기지를 공격한 바 있다"며 "스트리스-141, 스트리스-143은 원래 정찰용 무인기지만 우크라이나는 정찰용 카메라를 빼고 대신에 폭탄을 탑재시켜 자폭형 무인기로 쓰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마키노 기자는 이번 북한 무인기가 정찰용이 아닌 공격형 무인기일 경우에도 움직이는 목표물은 공격할 수 없고, 소형 무인기이기 때문에 탑재할 수 있는 폭탄이 그다지 크지는 않다면서도 북한은 생화학무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경계했다.

우리 군은 북한이 생물무기로는 탄저균이나 천연두, 콜레라 등을, 화학무기는 VX나 사린 등 최대 5000t 정도 보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마키노 기자는 "2017년 2월 김정남씨를 암살할 때 북한이 쓴 VX 치사량이 1mg 즉, 0.001g밖에 안 된다"며 "단순한 계산이지만 혹시 북한이 무인기에 VX를 150㎏ 정도 탑재해 공격했다면 한국 인구의 3배 정도인 1억5000만명 정도를 죽일 수 있다. 그 정도로 위험한 상황이었다고 생각한다"고 우려했다.

또 소형 무인기는 민간 제품으로도 고성능 무인기를 개발할 수 있어 대북 제재도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2015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에서 발견된 북한 무인기에 일본, 미국, 중국 등 적어도 여섯 나라의 제품이 사용됐고, GPS나 카메라, 엔진 등이 발견됐다. 이 제품들은 군사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수출을 규제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마키노 기자는 아울러 "북한에서는 구소련이 1950년대에 개발한 '미그-17' 전투기나 '미그-19', '미그-21' 그리고 1960년대에 개발된 '미그-23' 등이 많이 남아 있는데 이렇게 오래된 전투기들은 거의 전투용으로 쓰이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면서 "이와 비슷하게 오래된 전투기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군이 전투기를 자폭형 무인기로 개조해 배치하고 있다는 정보가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북한이 앞으로 중국과 똑같이 이러한 전투기를 자폭형 무인기로 쓰는 경우에 북한은 핵무기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에 큰 위협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대책과 관련해서는 무인기를 발견하면 전파를 방해하면서 격추하는 이스라엘의 무인기 방어 시스템인 '드론 돔(Drone Dome)'을 거론하면서도 "방해 전파가 민간 시설의 전파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서울 같은 대도시 전체를 드론 돔으로 방어하기 어렵다"면서 "윤석열 한국 대통령이 무인기 대책을 빨리 완성하라고 지시했지만 여러 가지 어려운 과제가 남아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SW

hyh@economicpost.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