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는 봤나” 강냉이쵸콜레트과자-강냉이국수
상태바
“들어는 봤나” 강냉이쵸콜레트과자-강냉이국수
  • 양승진 북한 전문기자
  • 승인 2020.08.27 12:56
  • 댓글 0
  • 트위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北, 강냉이 생산량 지난해 152만1000톤
쌀 다음으로 생산량 많아 가공식품 풍년
中 웨이보에 밀편튀기·즉석국수 등 소개
북한에서 생산된 '강냉이쵸콜레트과자'. 사진=NEW DPRK
북한에서 생산된 '강냉이쵸콜레트과자'. 사진=NEW DPRK

[시사주간=양승진 북한 전문기자] 북한이 큰물피해 복구와 관련 유독 강냉이(옥수수) 밭에 줄을 매거나 고랑을 파는 모습이 TV에 많이 나온다.

산지가 많은 지형 특성상 옥수수를 심어 쌀을 대체하기 때문이다. 북한에서 쌀 다음으로 많이 생산되는 곡식이 바로 옥수수다.

통계청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 쌀 2236000, 옥수수는 1521000톤을 생산했다. 이 중 옥수수 생산량은 2018150만톤보다는 증가했지만 2017167만톤에 비해서는 줄었다. 남한의 생산량은 2018년 기준 78000톤으로 우리보다 19배나 많다.

북한은 옥수수 생산량이 많다보니 이를 이용해 만든 가공식품들이 주민들로부터 호평 받고 있다.

북한 대외선전매체 ‘NEW DPRK’는 최근 중국 웨이보에 옥수수를 이용한 즉석식품 등을 선보였다.

매체는 비타민B1, E를 비롯한 영양 성분들이 풍부히 들어 있고 소화 흡수율이 높아 평양시 안의 백화점들에서 판매되고 있는데 그 수요는 날로 높아가고 있다고 했다.

소개한 옥수수 가공품들에는 밀편튀기, 강냉이튀기, 밀쌀튀기를 비롯해 강냉이즉석국수, 강냉이쵸콜레트과자, 된장맛 즉석국수, 강냉이 즉석국수, 우유맛 강냉이튀기, 강냉이편튀기, 강냉이국수, 매운맛 강냉이튀기 등이다,

강냉이 밭에서 태풍에 대비해 줄을 매는 농장원. 사진=NEW DPRK
강냉이 밭에서 태풍에 대비해 줄을 매는 농장원. 사진=NEW DPRK
'강냉이튀기' 사진=NEW DPRK
'강냉이 즉석국수' 사진=NEW DPRK
'된장맛 즉석국수' 사진=NEW DPRK
'강냉이 즉석국수' 사진=NEW DPRK
'우유맛 강냉이튀기'. 사진=NEW DPRK
'강냉이편튀기'. 사진=NEW DPRK
'강냉이 국수'. 사진=NEW DPRK
'매운맛 강냉이튀기'. 사진=NEW DPRK

◆'강냉이밥' 먹으면 영양결핍(?)

대부분의 북한 주민들이 먹는 주식은 강냉이밥이다.

북한 유치원이나 탁아소에서 주는 어린이들 밥이 강냉이밥이어서 열악하다고 하지만 사실 강냉이에는 영양분이 입쌀만큼 들어있어 어떻게 가공해 먹는가에 따라 편차가 있다고 한다.

강냉이로 쌀밥을 해서 먹을 경우 강냉이에 있는 영양분을 모두 소화 흡수 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남자들의 경우 먹는 음식물의 약 70%를 소화 흡수하는데 강냉이 쌀밥일 때는 40~50%만 소화 흡수되고 나머지는 그냥 배설된다.

강냉이 쌀밥을 주식으로 하는 인민군대와 돌격대원들 속에서 영양결핍 환자가 많이 나오는 건 이런 이유 때문이다.

그래서 몸의 건강을 유지하고 영양실조를 막으려면 반드시 강냉이를 가루 내어 여러 가지 음식을 만들어서 먹어야 한다.

 

'강냉이밥'. 사진=인터넷 캡처
'강냉이밥'. 사진=인터넷 캡처

강냉이를 주식으로 먹어도 건강에 아무런 이상 없을 뿐만 아니라 장수하기까지 한다고 하는데 문제는 북한에서처럼 강냉이로 밥을 해먹는 것이 아니라 가루 내어 여러 가지 음식을 만들어 먹어야 건강하고 장수할 수 있다는 얘기다.

강냉이는 옥수수의 방언이며 북미가 원산지로 우리나라에 전래된 시기는 정확하지 않다. 그러나 대략 1500년경에 폴란드인들에 의해 중국에 도입되고 1600년대에 중국대륙 전반에 걸쳐 전파됐으며, 1700년대에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1766년에 저술된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 옥수수의 한자표기인 玉蜀黍(옥촉서)’라는 말은 이 같은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옥수수는 강원도·함경도 등 산간지대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특히 강원도의 옥수수는 찰옥수수라고 하여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한편 이달 21일 기준 북한물가는 옥수수가 12100(한화 294.6), 쌀이 4392(616.1)으로 다른 달에 비해 조금 올랐다. SW

ysj@economicpost.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