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당대회 앞둔 바른미래, 당 구조조정안에 '어수선'
상태바
전당대회 앞둔 바른미래, 당 구조조정안에 '어수선'
  • 김도훈 기자
  • 승인 2018.07.30 15:09
  • 댓글 0
  • 트위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시사주간=김도훈 기자바른미래당이 지지율 반등을 목표로 오는 9월2일 전당대회 준비에 심기일전하고 있지만 당내 분위기는 어수선하다. 지난 26일 발표된 '계약직 재임용 불가' 등 구조조정안 여파가 작지 않은 모습이다.

 특히 일부 구조조정 대상자들은 구조조정안이 사실상 통합 전 바른정당 출신 당직자들에게만 불리하다고 주장하고 있어, 전당대회를 앞두고 재차 각 당 출신들 간 갈등 노출이 예견된다.

 바른정당 출신 사무처장 등 계약직 당직자 25명은 이날 김동철 비대위원장 등과 비공개 면담을 갖고 계약직 구조조정 최소화를 요구하는 건의서를 전달했다. 지난 26일 당무혁신특위가 발표한 '계약직 재임용 불가' 등 구조조정 원칙에 대한 재고 요청이 골자다.

 바른미래당은 현재 215명 수준인 전체 당직자를 100여명 수준으로 감축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 과정에서 75명 수준인 계약직 당직자와의 계약을 종료해 '해고회피노력'을 최대한 실행한 뒤 추가로 정규직 당직자 구조조정에 나선다는 게 복안이다.

 그러나 바른정당 출신 계약직 당직자들은 이같은 방안에 대해 "합당 이후 재임용을 약속받았기에 당을 믿고 계약서에 서명했다"며 "그런데 계약서상 정해진 기간을 이유로 구조조정 1순위가 됐고, 지방선거를 위한 단기인력으로 평가절하됐다"고 반발하고 있다.

 면담에 참여한 한 당직자는 "당 재정의 불가피성 때문에 구조조정과 인력조정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도 손쉬운 방법으로 계약직 당직자들을 일괄적으로 먼저 정리해 나가겠다는 생각이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당이 '쉬운 해고'를 택했다는 것이다.

당 지도부에서도 이같은 상황에 대한 비판 목소리가 나왔다.

 이지현 비대위원은 공개회의에서 "정확하게 당의 로드맵이 설계되지 않은 상황에서 계약직부터 정리하는 건 그야말로 가장 쉬운 정리를 하는 것"이라며 "당직자들 입장에서 납득이 힘들고 어려울 수밖에 없고 약자 배려를 외치는 바른미래당 기조와도 배치된다"고 비판했다.

 반발 기류 속 일각에선 바른정당 출신 당직자들이 국민의당 출신 당직자들에 비해 불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다는 주장마저 나온다. 특히 바른정당 출신 당직자들은 구조조정안 수립 과정에서 국민의당 출신 당직자들과 달리 의사표명 기회가 없었다고 주장한다.

 한 당 관계자는 "국민의당 출신 계약직 당직자들은 (당무혁신특위가) 이야기를 들어줬다고 한다"라며 "바른정당 출신 계약직 당직자들 입장에선 자괴감이 든다"고 했다.

 아울러 바른정당 출신들 일부는 각 당 출신 계약직 당직자들의 계약기간 만료 시기가 다른 점을 근거로, 결국 상대적으로 계약기간이 빨리 종료되는 바른정당 출신 당직자들을 일방적으로 정리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의구심 어린 시선도 보내고 있다.

 이와 관련, 바른정당 출신 계약직 당직자들의 경우 양당 통합 전 작성한 계약서에 따라 오는 8월31일 계약이 일괄 종료된다. 반면 국민의당 출신 당직자들은 9,10,11월 등 계약 종료 시기가 일정하지 않은 상황이다.

바른정당 출신 시도당 관계자는 "국민의당 출신은 계약만료가 내년 2월인 사람도 있다"며 "계약직을 순차적으로 내보내고 남은 정규직 인력들도 일부는 떠나게 한다는 게 지도부 생각인데 얼마나 의미 있는 인력조정이 될지 모르겠다"고 했다.

 결국 국민의당 출신 계약직 당직자들까지 다 조정되기까지 최대 6개월 이상이 걸리는 만큼 시간이 갈수록 구조조정은 흐지부지되고 먼저 계약이 종료된 바른정당 출신 당직자들만 희생양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일부 국민의당 출신 당직자들 중 '계약서 없는 고용' 형태로 일을 해온 인력들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들의 경우 계약서가 없어 역으로 구조조정을 회피해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구조조정 반발이 각 당 출신들 간 갈등 불씨로 번지며 당내에선 6·13 지방선거 이후 한동안 잠잠했던 당내 갈등이 다시 폭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 경우 전당대회를 통해 당내 통·화합 이미지를 제고하며 지지율을 반등시키려는 바른미래당 계획도 틀어질 수밖에 없다. '전당대회 컨벤션'이 반감되는 것이다. 한 당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전당대회도 예정돼 있으니 최소한 몇 달이라도 (계약 해지를) 유예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구조조정안을 내놓은 당무혁신특위는 원칙 고수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오신환 당무혁신특위 위원장은 "정규직과 계약직을 구분 없이 215명 전부를 평가해 (구조조정 대상을) 평가한다는 데 모든 구성원이 동의를 하면 그렇게도 가능하다"면서도 "법적으로 해고가 더 어려운 정규직들이 동의를 하겠나"라고 반문했다.

 오 위원장은 또 먼저 정리되는 바른정당 출신들만 희생양이 될 수 있다는 논리에 대해서는 "일어나지 않은 일을 예측해서 말하는 것"이라며 "그건 받아들이기 어려운 지적"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구조조정안이 국민의당에 유리하고 바른정당에 불리하다는 것에 동의하기 어렵다"고 재차 말했다.

 사무처 통합을 주도하고 있는 이태규 사무총장은 바른정당 출신 계약직 당직자 의견수렴 배제와 관련해 "(계약직 연장 불가의) 불가피성을 얘기를 해줬으면 좋았을 것"이라면서도 "(면담을 하더라도) 재계약을 안 하겠다는 입장을 통보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다"고 했다.

 이 총장은 또 '계약서 없는 고용' 형태 인력들의 구조조정 회피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런 사람이 있더라도) 어쨌든 급여가 나간 거니까 계약직 당직자에 준해 처리할 것"이라고 했다. 이들에 대한 처리 시기에 대해서는 "8월31일자 정리 대상자들과 같이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한 당 관계자는 "8월31일자로 계약이 만료되는 바른정당 출신 당직자들이 25명 정도인데 전체적인 계약직 당직자가 75명 정도고 그 중 50여명은 국민의당 출신"이라고 강조했다. 결과적으로 계약만료로 정리되는 당직자 숫자는 국민의당 출신이 더 많다는 것이다.

바른미래당 비대위는 일단 오는 9월2일 새 지도부가 선출되기 전까지 최대한 사무처 구조조정 작업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미 내부 반발 기류가 일고 있는 상황에서 구조조정 문제가 차기 당권 경쟁 의제로 부각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 경우 바른미래당은 양당 출신들 간 재차 극심한 갈등에 휩싸일 것으로 보인다. SW

kdh@economicpost.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